|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함수
- AI
- JS
- CSS
- array
- hooks
- 최적화
- object
- es6
- DOM
- ES5+
- Python
- next.js
- 햇소
- ChatGPT
- 우아한테코톡
- html5
- git
- learn next.js
- API
- gitCLI
- dev
- JavaScript
- github
- ES6+
- hatso
- react
- 선택자
- This
- 변수
- Today
- Total
목록hatso (76)
codinghatso
펼침 연산자는 변수명 앞에 마침표 3개를 연달아 붙여(...) 표시합니다. 펼침 연산자는 적용한 객체의 개별 속성, 요소를 펼쳐서 각각의 개별 요소, 또는 속성이 순서대로 적용되도록 합니다. 펼침 연산자는 확산 연산자, 또는 스프레드 오퍼레이터, spread syntax 등으로 부릅니다. let calc = function (x, y, ...restparams) { return ( x + y + restparams.reduce(function (sum, param) { return sum + param; }) ); }; let arr11 = [0, 1]; console.log(calc(-1, ...arr11, 2, ...[3])); // 배열로 넘어가는 인자들을 펼쳐 파라메터에 순서대로 적용함. let ..
평소처럼 npm 으로 서버를 listen 하고 있었는데 특별한 이유없이 'already listen error'가 뜬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생각 보다 간단 했습니다. $killall node 명령어를 입력하면 listen 되고 있는 노드를 정리해줍니다. killall 명령어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아하니 개발자들은 한번씩 경험하는 오류인가 봅니다! 오늘도 즐거운 개발공부를 했습니다.
레이아웃 sm : @media (min-width:640px) 휴대폰 세로 사이즈 md : @media (min-width:768px) 휴대폰 가로 사이즈 lg : @media (min-width:1024px) 템플릿 사이즈 xl : @media (min-width:1280px) 데스크탑 사이즈 flex : 요소를 붙인다. 가로 container mx-auto : x축에 따라 여백이 자동으로 변경된다. object-cover : 컨테이너를 덮도록 요소의 컨텐츠 조정(이미지가 늘어나거나 찌그러지지 않게 컨테이너 사이즈에 맞춰서 잘림) lg:w-1/2 : 화면비율50% overflow-hidden : 컨테이너에 비해 너무 큰 컨텐츠이면 숨겨라 float : 블록 레이아웃. 사이즈 h : 높이값 h0 ~ h6..
AI를 구현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있다. programming 환경을 고를 때에는 클라우드(Cloud) 와 스탠드얼론(Standalone)중 선택하게되며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잘 선택하는게 좋다. 클라우드 서비스중에는 Google Colab서비스를 추천한다. http://colab.research.google.com Google Colaboratory colab.research.google.com 위 서비스는 구글이 가상 컴퓨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github와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다음은 스탠드얼론으로 작업하려면 Anaconda-Navigator를 사용하여 통합개발도구인 Spyder를 설치해야 한다. http://anaconda.com Anaconda | The World's ..
python 에서 제공하는 turtl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랜덤으로 목적지를 지정하여 그곳을 찾아가는 AI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탐색한 횟수를 기록하여 성능을 체크하였습니다. from turtle import * import random #%% target 난수 생성 targetX = (random.randint(-10, 10)) * 10 targetY = (random.randint(-10, 10)) * 10 mypen=Turtle() #%% 울타리 그리기 mypen.penup() mypen.pencolor("black") mypen.setposition(-100,-100) mypen.pendown() for x in range(4): mypen.forward(200) mypen.left(90) #%..
var의 변수 선언 방식은 단점을 가지고 있음 var topic = 'nodejs' console.log(topic) // nodejs var topic = 'mysql' console.log(topci) // mysql 변수를 다시 선언해도 에러가 나오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된다면 코드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곤란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때문에 많은 javascript 개발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 하기 위해 let 과 const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기로 하였다. let은 변수에 재할당이 가능하다. let topic = 'nodejs' console.log(topic) // nodejs let topic = 'mysql' console.log(topci) // U..
평화로운 공부중 하루 일과를 마치고. $git push를 입력했지만 remote: Support for password authentication was removed on August 13, 2021. Please use a personal access token instead. remote: Please see https://github.blog/2020-12-15-token-authentication-requirements-for-git-operations/ for more information. fatal: unable to access 'https://github.com/[user_name]/[rep_name].git/':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03 위 ..
javascript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복습을 오늘 끝마쳤습니다. 블로그에 어떤 컨텐츠를 업로드 하면 좋을까 고민을 했습니다. JS에 대한 언어를 서술하는 것 보다. 굳이 외울필요없는 웹상에서의 우리가 알던 함수 또는 개념의 또다른 모습을 인상깊었거나, 자주 사용될 것같은 기능 또 매력적인 키워드가 있다면 그것을 블로그에 포스팅하여 무언가를 발견했을때의 기쁨과 감동을 저의 블로그를 찾아주신 분들과 나누려고 합니다. 언어 포스팅은 아마 전체적으로 비슷한 흐름으로 흘러갈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