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xt.js
- Python
- hatso
- learn next.js
- 변수
- AI
- This
- API
- dev
- html5
- array
- DOM
- git
- es6
- react
- ES5+
- 선택자
- gitCLI
- object
- 햇소
- 최적화
- JS
- 함수
- JavaScript
- CSS
- ES6+
- 우아한테코톡
- ChatGPT
- hooks
- github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6)
codinghatso

NaN과 Infinity는 실제 숫자 값은 아니지만 숫자 타입으로 정의됩니다. 자바스크립트 내장 예약어, 또는 별도로 정의된 숫자 타입의 한 종류이며, NaN은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 Infinity는 숫자형으로 표현할 수 없는 큰 숫자인 경우(수학에서 말하는 무한한 값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로 표현 가능한 최대 정수보다 큰 경우) Infinity를 대신 표시합니다. let nanVar = NaN; Number.NaN; Number.isNaN(); Number.isInfinite(); Number.EPSILON; // 두 표현 가능한 숫자의 최소 간격. / 2.220446049250313e-16 Number.MAX_SAFE_INTEGER; // 안전한 최대 정수. / 900719925474..

표준 규약에 정의되어 있지만, 대부분 모르고 나도 몰랐고 사용하지 않을 거 지만 가볍게 포스팅 해봅니다. Object.is(0,-0); 앞의 비교문은 false를 반환. 전역 객체의 "is()" 메서드는 파라메터로 넘어온 두값이 같은지 비교를 해서 불리언을 반환하는 메서드인데 0(+0)과 -0은 다른 숫자로 인식되는걸 볼 수 있다. 끝!

자바스크립트에는 원시 자료형 중 하나로 "숫자(Number)" 자료형을 제공합니다. 1234 -4567 0.234 2.345e6 과 같은 모든 숫자 표현을 말합니다. 다른 개발 언어의 정수형, 실수형, 부호 없는 정수형과 같은 세세한 숫자형의 구분 방식과 달리 자료형이 1개만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숫자형은 내부적으로 부호가 있는 64비트 부동소수점으로 저장됩니다. 비트 자릿수 표현 0~51 숫자(52비트) 52~62 지수(11비트) 63 부호표시(1비트) 그 외에 숫자형은 아니지만, 수적인 표현을 사용하기 위해 Infinity(무한), NaN(Not a Number)과 같은 숫자형을 보조하는 자료형이 있습니다. 연산을 하기 전에 숫자를 캐스팅(Casting)해서 정수와 실수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습니..

자바스크립트는 자유도가 높은 언어에 속합니다. 때문에 _ 나 $ 같은 특수 기호가 접두, 접미에 붙여 선언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const variable = _var, $1, _name_of_value_; let _9 = '변수'; let _ =1; let $ = 2; let $2 = _ + $; 위처럼 자유도가 높은 변수 선언 하지만 우리는 변수 명을 선언 할때에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개발자들이 협업을 위해 정해 놓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점입니다. $기호를 변수명에 사용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공유, 또는 협업을 하면 당신의 코드를 보는 그 누군가일 개발자는 당신의 코드를 제이쿼리 코드로 판단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습니다. 따라서 제이쿼리와 같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와의 사용상 ..
변수 선언을 호이스팅하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선언 방식과 마찬가지로 함수명도 호이스팅을 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선언해 사용하는 다음과 같은 합수 선언은 function getName(){ return '라이언'; };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내부적으로 처리가 됩니다. let getName = undefined; getName = function getName() { return "라이언"; };
본 문제는 python 의 빠른 기초 학습을 위해 설계된 문제로서 python 코드 제출을 기준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sequences)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4 7 10 13 16 19 22 25 ... 은 1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3을 더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러한 것을 수학에서는 앞뒤 수들의 차이가 같다고 하여 등차(차이가 같다의 한문 말) 수열이라고 한다. (등차수열 : arithmetic progression/sequence) 수열을 알게 된 영일이는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럼.... 12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등차(d),..
주요 키워드 input().split('입력값형식') [입력값형식 공백은 생각가능] format(변수명,'포멧형식') a,b,c = input().split() 1.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받기 sum = a+b+c avg = sum/3 2. 합과 평균 값을 변수에 담기 print(sum,format(avg,'.2f')) 3.format()메서드를 이용해 avg 값을 .2f 로 둘째 자리 까지 출력함. 예시 a,b = map(float,input().split()) div = a/b print(format(div,'.3f')) 10.0 3.0 3.333

평소처럼 npm 으로 서버를 listen 하고 있었는데 특별한 이유없이 'already listen error'가 뜬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생각 보다 간단 했습니다. $killall node 명령어를 입력하면 listen 되고 있는 노드를 정리해줍니다. killall 명령어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아하니 개발자들은 한번씩 경험하는 오류인가 봅니다! 오늘도 즐거운 개발공부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