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S5+
- learn next.js
- object
- hatso
- react
- array
- JavaScript
- 최적화
- hooks
- Python
- DOM
- CSS
- es6
- API
- git
- 햇소
- This
- AI
- gitCLI
- dev
- html5
- 변수
- ES6+
- 우아한테코톡
- developerlife
- github
- 함수
- JS
- next.js
- 선택자
- Today
- Total
목록hook (2)
codinghatso

전체적인 틀 AttendanceBook.js import React, { useState, useReducer } from "react";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 const initialState = { } function AttendanceBook(){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const [] = useReducer(reducer, ); return ( 추가 ) } export default AttendanceBook; 구현 import React, { useState, useReducer } from "react"; import Student from "../components/Student"; //reducer..

useState는 state와 setState를 배열 형태로 return 해 줍니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초기값); state에는 현재 상태 값이 들어있습니다. setState로 상태 값을 업데이트시켜줄 수 있습니다. setState값이 변경 될 때마다 업데이트(렌더링) 됩니다. State값을 변경할 때 변경할 값이 이전 State값과 연관되어 있다면 콜백함수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setState((prevState) => { return newState; }) //배열 형태는 [input, ...prevState] 스프레드 문법으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하면 된다. State의 초기값이 어떤 무거운 함수의 결괏값으로 전달될 때 콜백함수로 전달하면 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