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변수
- gitCLI
- 선택자
- JavaScript
- 우아한테코톡
- es6
- JS
- This
- 햇소
- Python
- next.js
- hatso
- hooks
- html5
- array
- ES5+
- dev
- object
- github
- AI
- ES6+
- DOM
- 함수
- CSS
- 최적화
- developerlife
- learn next.js
- react
- API
- git
Archives
- Today
- Total
codinghatso
화살표 함수 본문
화살표 함수는 ES6에서 새롭게 도입된 함수 표기 방법입니다.
기존 함수 표기방법은
function add(a,b){
return a+b;
}
화살표 함수 표기방법은
let add = (a,b) =>a+b;
입니다.
화살표 함수는 몇 가지 간단한 표기 규칙이 있습니다.
규칙 | 조건 |
파라미터 | 0개- 빈괄호 () 반드시 표기 -()=>{} 1개- ()생략가능 - arg1=>{} 2개 이상- ()로 파라미터들을 감싸서 표기 -(arg1,arg2)=>{} |
return 구문사용 | 블록({}) 으로 코드를 감싼 경우 반환할 값이 있으면 반드시 return문으로 반환해야 함. 블록으로 감싼 코드에 return문이 없을 경우 "undefined"가 반환됨. 블록을 생략한 경우 "return" 또한 생략 가능 |
'WEB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 분해 (Destructuring) 문법 (0) | 2023.03.30 |
---|---|
문장과 표현식을 구분하자 (0) | 2023.03.21 |
나머지 파라미터 활용 ES6 (0) | 2022.01.13 |
펼침 연산자 spread operator, 전개 구문 (0) | 2022.01.13 |
커링(Curring) 함수 기초 (0) | 2022.01.13 |
Comments